소통마당

home > 소통마당

어촌소식

페이스북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트위터 공유하기 블로그 블로그 공유하기 게시물 공유 게시물 공유 URL 주소 인쇄 출력하기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의 공시사항 내용표입니다.
바다위를 걷다, 2023년 바다갈라짐 시간을 알려드립니다
작성자 작성일 2022/12/27 09:08:15 조회수 512
첨부파일

                                               바다위를 걷다, 2023년 바다갈라짐 시간을 알려드립니다!
                                                - 바다갈라짐 안내책자 발간 및 무료 배포 이벤트 개최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원장 변재영)은 국민의 안전한 해양활동 지원을 위해 2023년 바다갈라짐 예보시각 등을 담은 책자 를 간행하고 무료 배포 이벤트(12월 27일~30일)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 “2023년 바다갈라짐 안내길잡이, 바다위를 걷다”

 

책자에는 전국 바다갈라짐 명소 14개소 의 바닷길 열림·닫힘 시각과 바닷길 여행에 참고할 수 있는 현장 사진, 교통정보, 주변 관광 정보 등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 (인천) 실미도, 선재도, 소야도, (경기) 제부도, (충남) 웅도, 무창포, (전북) 하섬, (전남) 화도, 진도, 대섬, 우도, (제주) 서건도, (경남) 소매물도, 동섬

 

바다갈라짐이란, 간조(저조) 시 주변보다 수심이 얕은 지형이 해수면 위로 드러나 육지와 섬 또는 섬과 섬 사이에 길이 생기는 현상으로, 서해안, 남해안과 같이 조수 간만의 차이가 크고, 해안선이 복잡한 곳에서 주로 나타난다.

 

바닷길이 열리면 육지와 떨어져 있는 섬에 왕래할 수 있으며, 해수면 아래에 있던 다양한 생물을 직접 접하는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바다갈라짐 명소에는 신비의 바닷길 축제나, 조개잡이 체험장이 열리기도 하여 가족 단위의 체험을 하기에 좋다.

 

2023년도 바다갈라짐 책자는 국립해양조사원 공식 블로그 ‘바다드림’(http://blog.naver.com/ocean_khoa)에서 12월 27일(화)부터 30일(금)까지 열리는 이벤트를 통해 선착순(250부)으로 무료 배포될 예정이다. 또한, 바다갈라짐 예보는 책자 뿐 아니라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과 보이는 ARS(1588-9822), ‘안전해(海)’ 앱을 통해서도 제공된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변재영 원장은 “다양한 체험이 가능한 바다갈라짐 명소에서 즐겁고 안전한 여행이 되길 바라며, 국민들께서 우리 바다를 더욱 다채롭게 즐길 수 있도록 끊임없이 고민하고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출처: 해양수산부
 

만족도 영역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