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촌소식
바다의 불청객 ‘괭생이모자반’ 습격에 대비한다 | |||||
---|---|---|---|---|---|
작성자 | 작성일 | 2022/11/22 08:44:11 | 조회수 | 72 | |
첨부파일 | |||||
바다의 불청객 ‘괭생이모자반’ 습격에 대비한다
* 갈조류 모자반의 일종으로 해저 표면에서 살아가는 일반적인 해조류와는 달리 부레옥잠처럼 해상에 떠다니는 해조류
대규모 띠 형태로 이동하는 해조류인 괭생이모자반은 해상에 떠다니는 특성으로 인해 선박의 스크류에 감겨 조업과 항해에 지장을 주고, 주로 김양식장 그물 등에 달라붙어 시설 훼손 및 양식생물 유실 등의 피해를 준다. 또한, 해안가에 방치되는 경우 주변 경관을 해칠 뿐 아니라 악취 등으로 인근 주민의 생활에 피해를 끼칠 수 있어서 신속하게 수거해야 큰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올해의 경우 1월부터 7월 말까지 총 1,590여 톤의 괭생이모자반이 유입되었으나, 작년 유입량의 8.7% 수준이고, 유입된 개체 역시 바다환경지킴이 인력 등을 이용해 지자체별로 신속하게 수거·처리하여 양식장 피해 신고는 없었다.
모의훈련 1일 차에는 실제로 대규모 괭생이모자반이 유입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유입 전 위성과 조사선 등 각종 관측 자원을 활용해 집중유입해역을 중심으로 관측 활동을 시행하고, 유입 차단시설을 점검하는 등 예방적 조치를 점검하는 데 중점을 두어 훈련을 추진한다.
2일 차에는 1일 차의 관측 결과에 따라 괭생이모자반이 연안으로 유입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지자체별로 관계기관의 협조를 받아 해상수거 및 육상수거를 시행하는 등 수거 역량을 높이고 대응체계를 강화하는 훈련을 시행할 계획이다.
정도현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관은 “향후 괭생이모자반 유입에 대비하여 관공선ㆍ위성을 활용한 관측을 지속해서 실시하고, 실제 유입상황이 발생하는 즉시 관계기관, 지자체 등과 신속하고 긴밀하게 협력하여 대응함으로써 어민들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