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마당

home > 소통마당

어촌소식

페이스북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트위터 공유하기 블로그 블로그 공유하기 게시물 공유 게시물 공유 URL 주소 인쇄 출력하기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의 공시사항 내용표입니다.
친환경수산물 인증제 활성화한다
작성자 귀어귀촌관리자 작성일 2021/04/06 16:43:06 조회수 283

친환경수산물 인증제 활성화한다

- 해양수산부 소관 친환경농어업법 시행규칙개정안 입법예고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친환경수산물 인증 활성화를 위해 해양수산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친환경농어업법) 시행규칙을 개정하여 512()까지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친환경수산물 인증제는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을 준수하여 안전한 먹거리를 친환경적으로 양식하는 어가를 인증하는 제도이며, 3월부터는 친환경수산물 생산지원 직접직불제**가 시행되어 품목별인증단계별로 정해진 인증직불금을 지원하고 있다.

 

* 양식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해요소(항생제 등)를 사전에 예방·관리하기 위한 위생·안전 시스템

** 친환경수산물 직불제 유형 : 무항생제 수산물, 유기수산물, 활성처리제 비사용 인증 등

 

그러나, 그간 친환경수산물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경영관련 자료와 사료 급이 서류, 수질분석 성적서 등 많은 서류와 1년간의 기록기간이 필요함에 따라 인증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고, 이는 제도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었다.

 

, 해양수산부는 친환경수산물 인증제가 보다 활성화될 수 있도록 개선사항을 마련하여 이번 시행규칙 개정을 추진하게 되었다.

먼저, 친환경수산물 인증 중 무항생제 인증활성처리제 비사용 인증을 받으려면 최근 1년간의 기록*자료가 필요하나, 처음 인증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최근 6개월간의 자료만 있어도 가능하도록 하여 인증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도록 개선하였다.

 

* 종자와 사료 구입, 투입, 질병관리 기록, 생산량 출하량 등 기록 자료로 1년 필요

 

또한, 수입종자의 중복제출 서류를 간소화하는 등 인증기준을 개선한다. 수입종자는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수입검역증명서발급 받아 수입하는데, 친환경인증을 받으려면 검사항목*과 발급기관이 일한 별도의 병성감정**통지서가 중복으로 필요한 실정이었다. 이에, 수입종자의 경우 수입검역증명서병성감정통지서로 갈음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였다.

 

* 세균성, 곰팡이성 질병 5, 기생충성 질병 4, 바이러스성질병 16

* 수산생물전염병이 발생하였다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는 수산생물을 부검이나 그 밖의 생화학적 실험 등을 통하여 전염병의 원인을 규명하려는 병리진단학적 행위

 

아울러, 처음 무항생제 수산물 인증을 받으려는 어업인의 경우 현재 양식장에 사육 중인 상태에서 병성감정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한다. 무항생제 수산물 인증을 받으려면 입식할 때 병성감정을 받아야 해서 처음으로 인증을 받으려는 어업인은 현재 기르고 있는 어류를 모두 출하한 이후에야 인증을 신청할 수 있었으나, 이를 개선하여 병성감정에 대한 어업인의 부담을 경감시킬 예정이다.

 

이와 함께, 친환경 양식 관련 전문성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친환경양식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한국어촌어항공단*과 한국수산자원공단을 친환경 실태조사 및 평가기관에 추가**하여 해당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 (어촌공단) 친환경양식어업육성 사업관리 등, (자원공단) 수산종자산업육성지원 사업 등

 

** 현재는 국립환경과학원, 한국농어촌공사,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수행

이번 개정안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의 정책자료/법령정보/입법예고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의견이 있는 개인이나 기관단체는 2021512()까지 해양수산부 양식산업과, 해양수산부 누리집 또는 국민참여 입법센터로 의견을 제출하면 된다.

 

<의견 제출처>

 

 

 

해양수산부 양식산업과 : 세종특별자치시 다솜 294 해양수산부 양식산업과

(전화 : 044-200-5632, 팩스 044-861-9421)

해양수산부 누리집 : http://www.mof.go.kr 정책자료/법령정보/입법예고

국민참여입법센터 누리: https://opinion.lawmaking.go.kr 통합입법예고

 

이수호 해양수산부 어촌양식정책관은 우선 즉시 개선할 수 있는 법령의 개정을 추진함과 동시에, 친환경수산물 인증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면적으로 제도 개선사항을 검토한 후 추가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출처 : 해양수산부 

만족도 영역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